시민공감 기자단 기사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간담회를 다녀오다

시민기자단_정문보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갈등관리 교육 현장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갈등관리 교육 현장

현재 대전광역시는 1곳의 광역센터와 13곳의 현장지원센터가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하고 있습니다. 각 센터가 있는 위치는 아래와 같으며, 각각 다른 구에 속하여 업무를 보고 있으나 대전광역시의 활성화를 위하여 일한다는 마음은 모두 같을 것입니다.

도시 지표
시/구 센터명 주소
광역 도시재생지원센터 중구 중앙로 101 3층
중앙로 프로젝트 현장지원센터 중구 중앙로 101 3층
대전역마을 현장지원센터 동구 태정로 24-1 1층
동구 가오동 현장지원센터 동구 대전로 470번길 32
대동 현장지원센터 동구 동대전로 110번길 75
낭월동 현장지원센터 동구 산내로 1326
중구 중촌동 현장지원센터 중구 목중로 70번길 15 2층
유천동 현장지원센터 중구 계백로 1584번길 21 3층
서구 도마2동 현장지원센터 서구 사마6길 31
도마1동 현장지원센터 서구 도마시장1길 88
정림동 현장지원센터 서구 정림로 24번길 24 1층
대덕구 신탄진 현장지원센터 대덕구 신탄진로 830
오정동 현장지원센터 대덕구 한남로 112 2층
대화동 현장지원센터 대덕구 대화1길 38

※ 출처: 대전광역시 도시주택정보

대전광역시 중구 선화동 287-2에 위치한 광역센터인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는 각 지역에 있는 현장지원센터와 광역센터 간의 네트워크를 활성화하기 위하여 주기적으로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간담회를 진행하고 있습니다.

4월 29일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회의실에서 진행된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간담회는 오후 4시부터 시작되었으며, 오후 1시부터 4시까지 3시간가량 진행된 코디네이터 대상 갈등관리 교육이 끝난 후 바로 진행되었습니다.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를 대상으로 진행된 갈등관리 교육에서는 갈등관리에 대하여 이해하고, 갈등관리위원회를 구성하는 데 필요한 사항에 대한 시간을 가졌습니다. 갈등관리 교육을 수강하기 위하여 대전광역시 현장지원센터에서 근무하는 많은 코디네이터분이 참석하였고, 궁금한 사항에 대한 질문 및 수업내용에 대한 논의를 진행하면서 열정적으로 교육에 임하였습니다.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간담회 현장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간담회 현장

갈등관리 교육이 끝난 후 곧바로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간담회가 시작되었으나 코디네이터분들은 지친 기색 없이 대전광역시의 활성화를 위하여 각 코디네이터가 속해있는 현장에 대하여 논의하고 훌륭하게 도시재생 사업을 진행하고 있는 현장지원센터를 벤치마킹하고자 질문하는 등 전문가로서의 모습을 보여주어 한편으로는 이러한 분들이 우리 지역의 도시재생을 담당해주어 감사하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

도시재생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 간담회에서는 각 현장지원센터에서 진행되고 있는 사업에 대한 정보 공유와 주로 현장에서 업무를 보는 코디네이터의 애로사항에 대한 논의가 진행됩니다. 취재일에 진행된 코디네이터 간담회에서는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 홈페이지 개편 및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에서 운영하는 도시재생 웹진의 5월호 발간 등 지원센터별 진행하고 있는 사업에 대한 내용을 공유하였고, 대전광역시 동구 중동에 위치한 도심형 산업지원플랫폼 주차장의 홍보를 요청하는 등 현장에서 근무하는 데 주민들이 주는 의견에 대한 논의 및 피드백을 진행하였습니다.

대전광역시 중구 대사동에 있는 보문산 같은 경우에도 주차장 및 화장실에 대한 안내판이 존재하지 않아 필요성을 느끼고 있던 차에 도심형산업지원플랫폼 주차장 안내판 및 홍보에 대한 안건이 논의되어 현장지원센터 코디네이터들이 주민의 의견을 하나하나 반영하여 사업을 진행하고자 함을 깨달을 수 있었습니다. 지역주민뿐만 아니라 대전을 관광 목적으로 방문하는 분들을 위하여 위와 같은 사항은 필수적으로 진행되어야 한다고 생각합니다.

대전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에서 업무를 보고 있는 코디네이터분들은 현장의 주민들과 소통하며 주민을 주도로 하여 실제로 그 지역에 거주하고 있는 주민들이 희망하는 도시재생을 진행할 수 있도록 사업을 진행하는 데 큰 도움을 주시고, 앞으로도 계속하여 도움을 주실 분들입니다. 대전광역시 도시재생지원센터와 현장지원센터가 주민들이 스스로 주도적으로 해나갈 수 있도록 더욱 노력하고 협력하여 더 나아진 대전광역시가 될 수 있기를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