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민공감 기자단 기사
시민기자단_주영선
재작년, 작년에 이어 올해도 ‘플라스틱 삽니다’ 행사가 4월 4일부터 6월 17일까지 진행되었습니다.
플라스틱을 사는 행사는 대전광역시 NGO지원센터와 사회적협동조합 혁신청이 주관하고 있습니다. 올해는 플라스틱 종류의 내용이 좀 더 확대되어 기후 변화의 위기가 무엇보다도 피부에 닿을 정도로 위협적으로 다가오는 시점에서 ‘2022 플라스틱 삽니다’ 행사는 사람들이 좀 더 적극적으로 환경 문제를 생활 속에 정착시킬 수 있는 자리를 마련해주었습니다.
‘2022 플라스틱 삽니다’ 포스터
‘2022 플라스틱 삽니다’ 행사를 하면서 3가지의 지구를 지키는 작은 실천 사항을 제시하였습니다.
첫 번째 실천 사항은 ‘작은 플라스틱을 삽니다’입니다.
손바닥 정도 크기(지름 15cm 이하)보다 작은 플라스틱 종류는 재활용 상자에 버려도 재활용 되는 것이 어렵다고 합니다. 이런 작은 플라스틱을 모아서 각 지역에서 자원 순환에 활용합니다. 이를 위해 수집하는 플라스틱 종류는 PP, PS, HDPE, LDPE까지 네 가지이고, 대부분 플라스틱에 표기되어 있습니다.
두 번째 실천 사항은 ‘즉석밥 용기 삽니다’입니다.
즉석밥은 우주선에도 싣고 갈 정도이고 품질이 좋고 흰 쌀밥을 넘어 다양한 잡곡밥을 생산하며 소규모 가족의 가정이 많아지면서 사용량이 늘고 있습니다. 내장된 숟가락까지 현재 재활용되기 힘든 플라스틱인 OTHER로 분류되는데, 올해는 이런 즉석밥 용기도 사서 해당 기업에 플라스틱 어택을 진행할 것이라고 합니다.
끝으로 세 번째 실천 사항은 ‘플라스틱 장난감 삽니다’입니다.
아이를 키우면서 많은 장난감을 사게 되는데 장난감은 플라스틱이 상당히 많습니다. 아이가 사용하지 않게 된 플라스틱 장난감을 구입하여 재활용하거나 장난감이 필요한 아이들에게 기부한다고 합니다. 플라스틱 장난감은 플라스틱 정류장 중 ‘자양분’(동구 자양동)에서만 팔 수 있습니다.
‘2022 플라스틱 삽니다’ 행사를 진행한 비건바닐라
필자는 작년에도 제로 플라스틱 카페인 자양분에서 작은 플라스틱을 팔았습니다. 플라스틱을 팔아서 받은 코인으로 친환경 제품과 빵을 삼과 동시에 자원 재활용에 기여한다는 점이 스스로 뿌듯했습니다. 그 이후 더 열심히 철저하게 플라스틱을 모았습니다. 깨끗하게 씻고 분류해서 올해도 ‘플라스틱 삽니다’ 행사가 시작될 때 플라스틱 두 보따리를 들고 ‘팔러’ 갔습니다.
비건바닐라에서 모아 분류해 놓은 플라스틱
올해 ‘플라스틱 삽니다’ 행사에서 플라스틱을 팔 수 있었던 정류장은 총 6곳이며, 플라스틱 10개는 코인 1개(500원 가치)로 교환이 가능하였습니다. 플라스틱을 팔면 얻게 되는 코인은 총 22곳의 친환경 로컬가게에서 사용할 수 있었습니다. 플라스틱 판매 정류장 및 코인 사용이 가능했던 친환경 로컬가게는 아래와 같습니다.
플라스틱 판매 정류장 | 판매할 수 있는 플라스틱 종류 |
---|---|
제로 플라스틱 카페 자양분 (동구 자양동) | PP, PS, HDPE, LDPE, OTHER, 장난감 |
시민공유공간 잇다 (중구 석교동) | PP, PS, HDPE, LDPE, OTHER |
비건 바닐라 (서구 갈마동) | PP, HDPE |
나들공방카페 (서구 월평동) | PP, PS, HDPE, LDPE, OTHER |
제작문화공간 나선지대 (유성구 어은동) | PP, PS, HDPE, LDPE, OTHER |
제로 웨이스트 샵 네이처백 (대덕규 오정동) | PP, PS, HDPE, LDPE, OTHER |
플라스틱 판매 정류장
지역 | 가게명 |
---|---|
동구 |
제로 플라스틱 카페 자양분 (동대전로 159, 1층)
작은숩 (성동로 17) 한살림 가오매장 (신기로 109) |
대덕구 |
포어스 (계족로 564번길 5)
러빙헛웰빙 송촌점 (송촌북로 23) 작당모의 (계족산로 5번길 100) 네이처백 (오정동 210-10 창업존 600103호) 미호동 넷제로 공판장 (대청로 515) 법동 넷제로 공판장 & 대덕 에너지 카페 (계족로 608번길 5 1층) |
서구 |
비건바닐라 (한밭대로 656번길 32)
니들공방카페 (월평서로 6번길 30) 세러데이커피 신협점 (한밭대로 745, 신협중앙회 1층) 관저동 넷제로 공판장 (관저중로 80번길 8 지하 1층) |
유성구 |
도연제 (은구비로 155번길 32-13 1층)
카페 블레싱 (학하중앙로 168번길 27-15) 이도저도 (신성로 62번길 15 1층) 은영상점 (대학로 195-1 2층) 은파 (대학로 159번길 2 1층) 탄소창고 (문화원로 146번길 7-21) 티하우스 소수 (대학로 195-1 1층) 버들서점 (대학로 195-1 2층) 한살림 반석점 (반석동로 51-11 포럼텍 1층) |
코인 사용 가능한 친환경 로컬가게
플라스틱 판매와 코인 사용이 가능했던 니들공방카페
이렇게 모인 플라스틱들은 작은 플라스틱으로 재활용 상품을 만드는 ‘재:작소’로 보내집니다. 재:작소에서는 모인 플라스틱을 종류별, 색깔별로 나누어 보관하면서 ‘프레셔스 플라스틱 기술’을 통해 자원순환실험에 사용합니다.
많은 분이 도시재생과 더불어 환경 재생에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라며, 내년에도 진행될 ‘플라스틱 삽니다’ 행사에 참여하여 작은 환경 운동에 동참하기를 기대합니다.